본문 바로가기

메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 프로젝트 《봄의 선언》 심포지엄

다가오는 2025년 문화전당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 《봄의 선언》 개최에 앞서 사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전시의 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더불어 예술적 실천방식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간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 프로젝트
《봄의 선언》 심포지엄
  • 기간2024.10.24.(목) - 10.25.(금)
  • 시간목 13:00-17:30
    금 10:30-18:30
  • 장소문화정보원 B3 극장3
  • 대상성인
  • 좌석230석
  • 가격 무료
  • 예매온라인 사전신청
  • 문의1899-5566

소개
202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봄의 선언> 사전 국제 심포지엄
봄의 선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어느덧 2025년 개관10주년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를 기념해 내년 9월부터 펼쳐질 특별전시 <봄의 선언>에 앞서, 전시의 담론을 함께 나누는 사전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자라난 송이버섯을 통해 삶의 가능성을 이야기한 『세계 끝의 버섯』 저자 애나 칭, 인류세를 보완하여 ‘자본세’ 이론을 명명한 세계생태론의 제이슨 W. 무어가 기조발제로 참여하며, 다양한 연구자 및 예술가와 함께 인류세와 자본세의 최신 담론과 예술적 태도들을 점검합니다. ZKM 예술미디어센터, M+ 뮤지엄, ACC는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이 주제와 내년 <봄의 선언> 특별전시에 대해 함께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민주·인권·평화 정신의 예술 및 삶의 실천방식을 모색해 온 문화전당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오늘과 내일의 민주주의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인간만이 아닌 비인간, 다종생물들과 공존하는 미래의 삶이 어떤 모습일지 함께 고민하고 참여해주세요.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is pleased to host a pre-international symposium ahead of the special exhibition Manifesto of Spring, which commemorates the institution’s 10th anniversary in 2025. Manifesto of Spring raises a profound question about the current struggles for democracy in our lives today. The spring of Gwangju, which faded like the blossoms, has become a silent spring, one that may not return. We now seek to sense the strategies of capitalism beyond the vanished spring and explore alternatives and practices through life and art.

This symposium features Anna Tsing, author of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who reflects on life’s possibilities amid the ruins of capitalism through the lens of the matsutake mushroom, and Jason W. Moore, a key figure in world-ecology theory, who coined the concept of the "Capitalocene" to complement the Anthropocene. Together, we will examine the latest discourses on the Anthropocene and Capitalocene alongside new artistic approaches. In addition, partnering institutions ZKM | Center for Art and Media Karlsruhe and M+ Museum, collaborators of Manifesto of Spring, will share their insights through a roundtable discussion on these critical themes.

Through the lens of Anna Tsing, author of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who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life emerging from the ruins of capitalism, 

We invite you to join us in envisioning a future democracy that coexists with non-humans and multi-species beings.
협력기관 소개
M+
M+는 20세기 및 21세기의 시각예술, 디자인 및 건축, 영상, 그리고 홍콩의 시각문화를 수집, 전시 및 연구하는 박물관이다. 홍콩의 서구룡 문화지구(WestK)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근현대 시각문화 박물관 중 하나로, 세계 최고의 문화기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대담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M+는 우리의 독특한 시대와 장소를 반영하는 새로운 종류의 박물관으로, 홍콩의 지역성과 국제성의 역사적 균형을 바탕으로 21세기 아시아의 독특하고 혁신적인 목소리를 정의하고자 한다.

M+ is a museum dedicated to collecting, exhibiting, and interpreting visual art, design and architecture, moving image, and Hong Kong visual culture of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Hong Kong’s West Kowloon Cultural District (WestK), it is one of the largest museu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visual culture in the world, with a bold ambition to establish ourselves as one of the world’s leading cultural institutions. M+ is a new kind of museum that reflects our unique time and place, a museum that builds on Hong Kong’s historic balance of the local and the international to define a distinctive and innovative voice for Asia’s twenty-first century.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ZKM
1989년에 설립된 ZKM |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에 대한 열린 개념을 제시하는 세계적인 기관이다. 이곳에서는 예술 수집과 아카이브 연구가 전자 예술에 대한 예술적 연구와 연결된다. 이러한 학제 간 연결을 통해 ZKM은 20세기 및 21세기 미디어 아트의 이정표를 전시할 뿐만 아니라 그 발전에도 기여한다. ZKM은 전시, 심포지엄, 출판, 콘서트 프로그램, 디지털 포맷 등을 통해 예술과 기술의 담론을 사회, 과학, 비즈니스, 정치와의 교류 속에서 전달하는 플랫폼이다. 미디어와 디지털 세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ounded in 1989, the ZKM | Center for Art and Media Karlsruhe stands worldwide for an open concept of art in the digital age. Here, art collecting and archive research are linked with artistic research on the electronic arts. Through thes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ZKM not only presents milestones of 20th and 21st century media art, but also contributes to its further development. Whether exhibitions, symposia, publications, concert programs, or digital formats – ZKM is the platform for the discourses of art and technology in exchanges with society, science, business, and politics. Their mission is to investigate and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media and digital world on us humans.
(c) ZKM | Center for Art and Media Karlsruhe, photo: Joachim Mende
전체일정
10.24.(목) 1일차
DAY 1. Oct. 24th. (Thu)
날짜, 테마, 주제, 강연자로 나열된 표
시간
Time

Min
행사명
Title
연사
Speaker
모더레이터
Moderator
12:30 ’30 등록 Registration 김지하
(ACC 학예연구관)

Kim Jiha
(Senior curator of ACC)
13:00 ’5 개회 및 안내 Opening
13:05 ‘5 개회사
Welcoming Speech
이강현 Lee Kanghyu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당장 Director of ACC
13:10 ‘5 축사
Congratulatory Message 1
수한야 래플 Suhanya Raffel
M+ 뮤지엄 관장 Director of M+ Museum
13:15 ’5 축사
Congratulatory Message 2
앨리스터 허드슨 Alistair Hudson
ZKM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과학예술감독 Scientific Artistic Director of ZKM Center for Art and Media
세션 1 폐허에서 발견하는 생명다양성 
Session 1 Discovering Biodiversity at the End of the World
13:20 ‘60 기조발제 Keynote
습지의 삶 Swamp Life
애나 칭 Anna Tsing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 오르후스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and Professor, Aarhus University
*온라인/ Online
노고운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

Noh Gowoon
(Dept.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4:20 ’30 질의응답 Q&A
14:50 ’10 쉬는시간 Break
15:00 ‘30 에코페미니스트 쾌락주의와 종-관계의 정치학
Ecofeminist Hedonism and the Politics of Inter-species Relationships 
황주영 Hwang Jooyoung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Ecofeminism research center 'Moon and Trees' researcher
15:30 ‘30 테라0 - 진화하는 프로토타입
terra0- an introduction
파울 자이들러 Paul Seidler
테라0 terra0
16:00 ’30 벗과 함께
Together with Beot
조지은 Jieun Cho
이끼바위쿠르르 (ikkibawiKrrr)
16:30 ’40 질의응답 Q&A
17:10 ’5 폐회 Closing 김지하
(ACC 학예연구관)

Kim Jiha
(Senior curator of ACC)
10.25.(금) 2일차
DAY 2. Oct. 25th. (Fri)
날짜, 테마, 주제, 강연자로 나열된 표
시간
Time

Min
행사명
Title
연사
Speaker
모더레이터
Moderator
10:00 ’30 등록 Registration  
10:30 ‘5 개회 Opening 김지하
(ACC 학예연구관)

Kim Jiha
(Senior curator of ACC)
세션 2 자본세의 전략 드러내기
Session 2 Revealing the strategy of Capitalocene
10:35 ‘60 기조발제 Keynote
생명의 그물 속 민주주의: 부유한 자들의 인류세를 넘어서
Democracy in the Web of Life: Against the Anthropocene of the Rich
제이슨 W. 무어 Jason W. Moore
빙엄턴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Sociology, Binghamton University
박선희
(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Park Sun-Hee (Professor, Dept. of Media and Communications, Chosun University)
11:35 ’30 질의응답 Q&A
12:05 ’85 점심시간 Lunch
13:30 ‘30 기후/아시아: 탄소식민주의와 아시아라는 공동체
Climate/Asia: Carbon colonialism and community as Asia
서동진 Seo Dongjin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media Ar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14:00 ’30 인류세 생존주의 - 공(公)과 케노시스(kenosis)로서의 생존
Anthropocene Survivalism: Survival as Public and Kenosis
김홍중 Kim Hong Jung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Soc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14:30 ’30 예술 또는 태고의 침묵
Art or the silence of the Chaos
(The undifferentiated Wholistic Composition of All Things)
김순기 Soun-Gui Kim
Artist 예술가
15:00 ’40 질의응답 Q&A
15:40 ’10 쉬는시간 Break  
세션 3 예술로 다종의 세계 만들기
Session 3  Art and Multispecies world-making (New World)
15:50 ’40 벌집의 지혜: 돌봄으로 집단 지성을 키울 수 있을까?
Hive Wisdom: Can We Nurture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Care?
레오나르트 바르톨로메우스
Leonhard Bartolomeus
루앙루파, YCAM 큐레이터 Curator,
YCAM / part of ruangrupa
정현
(인하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Jung Hyun
(Professor/Art Critic, Dept. of Visual Arts, Inha University)
16:30 ’30 질의응답 Q&A
17:00 ’60   라운드테이블: 봄의 선언 전시
Roundtable: On the Exhibition Manifesto of Spring
김지하, 임리원
Kim Jiha, Lim Liwon  
ACC 학예연구관. 학예연구사
Senior Curator, Curator of ACC
실케 슈미클
Silke Schmickl
M+뮤지엄 무빙이미지, 샤넬 리드 큐레이터
CHANEL Lead Curator, Moving Image, M+ Museum
앨리스터 허드슨, 클라라 룽게
Alistair Hudson, Clara Runge
ZKM 과학예술감독, 큐레이터
Scientific Artistic Director, Curator of ZKM
18:00 ’20 질의응답 Q&A
폐회 Closing
18:20 ’5 폐회 Closing 김지하
(ACC 학예연구관)

Kim Jiha
(Senior curator of ACC)
참여자
  • (1부) 폐허에서 발견하는 생명다양성
    (Session 1) Discovering Biodiversity at the End of the World
  • 모더레이터 노고운(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
    Moderator Noh Gowoon (Dept.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기조발제 습지의 삶
Keynote Swamp Life
애나 칭 Anna Tsing
  •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 인류학과, 오르후스 대학교 교수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and Professor, Aarhus University
* 미국 현지 연결
이력보기 +
발표개요

습지는 비하되는 장소다. 주로 추한 황무지로 알려졌으며 해롭고, 쓸모없으며, 오로지 배수에 적합하다. "봄의 축제"가 우리를 습지 생활의 즐거움과 가능성으로 데려갈 수 있을까? 습지 제거는 봄을 짓이긴 현대 자본주의의 대표적인 움직임이다. 자연이 가진 생명을 탄생시키는 특성을 재평가하기 위해선 습지가 좋은 출발점이다. 현대의 당국은 습지 제거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학자들조차 습지의 다양한 종의 삶을 잊었다. 심지어 마룬(18-19세기 미국 노예주로부터 도망간 사람)부터 게릴라에 이르기까지 습지에 숨어 산 난민들에게 학문적 찬사를 바치며 기념할 때조차 습지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저항의 장소였을지언정 비참한 삶의 터전이라고 암시한다. 대부분의 기록과 연구는 외부에서 습지의 생존에 중요한 모든 것을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이 강연은 전형적인 습지 식물인 사고(sago)가 번성하는 지역에서의 풍요로운 습지 생활에 초점을 맞춘다. 사고뿐 아니라 습지 내생생물, 특히 연체동물은 다양하고 영양가가 높으며 복잡한 기술 없이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채집가가 진흙투성이가 되는 것을 기꺼이 감수한다면 말이다. 이 강연은 파푸아 서해안과 인접한 섬들에서 진행 중인 민족지학적 연구 자료를 제공하여 습지와 함께하는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어쩌면 습지를 장려하고 확산시키자는 제안을 하기도 한다.

The swamp is a denigrated place: a place known mainly as ugly wasteland: pestilent, useless, and fit only for draining. Might a “celebration of spring” instead take us to the pleasures and possibilities of swamp living? Draining swamps has been a signature move of the capitalist modernity that has squashed the spring. If we mean to revalue nature for its life-giving characteristics, a good place to start is the swamp.
Modern authorities have been so obsessed with draining swamps that even scholars have forgotten to consider multispecies livelihoods in the swamp. Even scholarly celebrations of refugees living hidden in swamps, from maroons to guerrillas, tend to suggest that swamp life is miserable even when it is politically important as a site of resistance. Most accounts suggest that everything important for survival must be brought in from outside. This talk instead considers the richness of swamp living—especially in areas where the quintessential swamp plant, sago, flourishes. Besides sago, swamp infauna, especially mollusks, can be diverse, nutritious, and easy to obtain without complex technologies—as long as foragers are willing to get muddy.  Offering material from in-proces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west coast of Papua and adjoining islands, this talk explores what it means to live with swamps, and even, perhaps, to encourage and spread them.

에코페미니스트 쾌락주의와 종-관계의 정치학
Ecofeminist Hedonism and the Politics of Inter-species Relationships 
황주영 Hwang Jooyoung
  •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Researcher, Ecofeminism Research Center 'Moon and Trees'
이력보기 +
발표개요

기후위기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위기가 격화되는 시대에 사회 체제를 전환하려면 생존을 넘어 더 나은 삶에 대한 욕망을 주제화해야 한다. ‘관계 맺고자 하는 힘’으로서 욕망을 새로운 종-관계와 사회적 관계의 토대로 삼는 에코페미니스트 쾌락주의의 정치적 함의를 살펴본다.

In an era of various social crises, including the climate crisis, are intensifying, transitioning the social system requires thematizing the desire for a better life beyond bare survival. This presentation examin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ecofeminist hedonism. Desire as the “power to connect” becomes the basis of new inter-species relationships and social relationships—this is at the foundation of ecofeminist hedonism.

테라0-진화하는 프로토 타입
terra0 - an introduction
파울 자이들러(테라0) Paul Seidler (terra0)
  • 예술가 Artist
이력보기 +
발표개요

지난 9년 동안 terra0는 토지 소유권, 생태계, 자연의 개념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탐구해 왔다. 우리는 인격 및 재산, 주체와 같은 법적 개념이 인간-자연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새로운 상호작용 형태가 분산화되고 민주적인 토지 관리를 통해 어떻게 나타날 수도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블록체인 기술은 집단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진정한 변혁적 잠재력은 여전히 조사 중이다. 이 강연은 terra0의 주요 프로젝트 중 일부를 소개하고 현재 진행되는 계획과 연결한다.

For the past nine years, terra0 has been exploring critical questions around land ownership, ecosystems, and the conception of nature. Our work focuses on how legal concepts such as personhood, property and subject influence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and how new forms of interaction could emerge through decentralized, democratic land management. While blockchain technolog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organizing collectives, its true transformative potential is still under investigation. In this talk, we will showcase some of terra0's key projects and link them to our current initiatives.

벗과 함께
Together with Beot 
조지은(이끼바위쿠르르) Cho Jieum (ikkibawiKrrr)
  • 예술가 Artist
이력보기 +
발표개요

이끼바위쿠르르의 작업 <열대이야기>와 <해초이야기>, <벗이 있어야 물질한다>(제주춤예술원, 하도어촌계 협업)을 사례로 ‘벗’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한다. 해녀들은 바다에서 씨를 뿌리고 가꾸고 채집한다. 바다에서 일어나는 그들의 일은 사냥이 아니라 농사이다. 해녀들은 서로를 벗으로 생각하며, 서로 연결되었기에 바다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벗이 있어야 물질한다’는 그런 의미이다.

“Together with Beot”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companion (beot) through the works of ikkibawiKrrr, such as Tropical Story (2022), Seaweed Story (2022), and Diving Is with Companion (2021, in collaboration with Jeju Dance Arts Centre and Hadori Village Association). The divers (haenyeo) sow, cultivate, and harvest in the sea. Their work in the sea is not hunting, but farming. The divers consider each other as a companion, and they can survive in the sea because they are connected. This is what it means to dive with a companion.
 

  • (2부) 자본세의 전략 드러내기
    (Session 2) Unveiling Capitalocene Strategies 
  • 모더레이터박선희(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ModeratorPark Sun-Hee (Professor, Dept. of Media and Communications, Chosun University)
기조발제 생명의 그물 속 민주주의: 부유한 자들의 인류세를 넘어서
Keynote Democracy in the Web of Life: Beyond the Anthropocene of the Rich 
제이슨 W. 무어 Jason W. Moore
  • 빙엄턴 사회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Sociology, Binghamton University
이력보기 +
발표개요

새로운 기후 합의는 강력하고 명확하다. 우리가 우주의 주인들, 즉 억만장자와 그에 속한 전문가 집단에 무릎을 꿇지 않는다면 기후 위기 때문에 죽는다. 1950년대부터 “부유한 환경주의”의 주요 요소였던 “실존적 위협”이라는 수사적 선택은 최근에 증폭과 확산을 반복했으며, 이번 세기의 이념적 투쟁과 계급 전쟁에 대한 귀중한 단서이다. 공포에 기반한 대중 정치를 촉진함과 동시에 이를 기후 해결책의 약속과 엮어서 민주적 해결에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없다”고 믿게 된다. 우리는 "기후 비상사태"를 겪고 있다. 도덕주의적 "환경주의", "선한 과학" 및 반민주주의적 정치의 병합은 초기 맬서스주의 이데올로기의 핵심이다. 포장지만 바뀌었지 내용물은 다르지 않다. 공포와 해결책 제시는 자본주의의 "문명화 프로젝트", "인간과 자연"의 경영 관리적 이원론, 그리고 "환경주의"가 가진 민주주의와 생산 계급에 대한 경멸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이러한 환상은 긍정적인 자본주의 발전 전망을 대체하기 위한 공포 조장을 기반으로 한 기술관료적이고 기술과학적인 디스토피아 정치 프로그램이다. 초부유층과 그에 속한 도시의 전문직 간부들에게는 "멋진 신세계"이지만 그 외의 모든 사람에게는 "1984"이다. 좌파에 속하는 학자들이 해결책을 거부할 때는 공포를 받아들였다는 뜻이며 이는 활동가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역사로부터 도피함으로써 가능해진 이 환상은 현 사태에 내재한 낙관주의의 실제 근거를 흐린다. 지난 2천 년 동안 기후 위기는 지배 계급에 불리했다. 기후 위기는 대중에게는 정치적 가능성의 순간이다.

The new climate consensus is emphatic and clear: the climate crisis is going to kill us, unless… we bend the knee to the masters of the universe: the billionaires and their professional cadres. The recent amplification and proliferation of “existential threat” rhetoric – a staple of the Environmentalism of the Rich since the 1950s – is a precious clue to the coming century’s ideological struggles and class wars. Weaving together the promotion of a mass politics of fear with promises of a climate fix, we’re told there’s “no time” for democratic solutions. We live in a “climate emergency.” The marriage of virtuous Environmentalism, Good Science, and anti-democratic politics was at the core of early Malthusian ideology. The bottles may have changed, but not the wine. The two moments, the fear and the fix, are deeply rooted in capitalism’s Civilizing Projects, its managerial dualism of Man and Nature, and Environmentalism’s contempt for democracy and the producing classes. Its fantasy, underwritten by fearmongering to replace positive vistas of capitalist development, is a political program of technocratic and techno-scientific dystopia – a Brave New World for the super-rich and their urban-professional cadres; a 1984 for everyone else. If most of the academic left rejects the fix, they have accepted the fear – and so have the movements. Enabled by its flight from history, the fantasy obscures the real grounds for optimism in the present conjuncture: climate crises, for the past two millennia, have been bad for ruling classes. They are moments of political possibility for the popular classes.
 

기후/아시아: 탄소식민주의와 아시아라는 공동체
Climate/Asia: Carbon Colonialism and Community as Asia 
서동진 Seo Dongjin
  •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t. of Intermedia Ar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이력보기 +
발표개요

기후 위기는 행성적 차원의 위기이다. 그러나 지구 행성은 또한 세계사가 전개되는 지형이다. 근대 세계사는 식민주의적 폭력과 수탈, 착취의 역사이자 불균등 발전의 역사이다. 우리는 탄소식민주의가 전개된 신산한 아시아의 역사를 조망한다. 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은 ‘아시아(주의)’를 호명하며 탈식민과 식민의 아슬한 이율배반을 통과하며 석유제국을 건설하고자 했다. 우리는 이를 경유하며 기후위기와 아시아의 관계를 묻고자 한다.

The climate crisis is a crisis on a planetary level. However, the Earth is also the terrain where world history unfolds. Modern world history is a history of colonial violence, plunder, and exploitation, as well as uneven development. We look at the distressing history of Asia where carbon colonialism unfolded. During the Pacific War, Japan invoked “Asia(nism)” to navigate the precarious antinomy of decolonization and colonization while attempting to build an oil empire. We seek to tackle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crisis and Asia.

인류세 생존주의—공(公)과 케노시스(kenosis)로서의 생존
Anthropocene Survivalism: Survival as Public and Kenosis
김홍중 Kim Hong Jung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Soc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력보기 +
발표개요

철학의 전통적 관점 속에서 생존은 사적 개체의 생물학적 생명(zoe)의 도모라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인류세의 도래와 가이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생존이라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불가피하게 한다. 이 발표에서 나는 두 가지 관점으로 새로운 생존의 의미론, 즉 인류세적 생존주의의 가능성을 짚어본다. 첫째, 생존은 사적인 것이 아니라 공적인 것이라는 테제. 이를 칸트의 공공성 개념과 미조구치 유조의 생민(生民)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생존은 코나투스가 아니라 케노시스라는 테제. 생존은 존재의 확장이나 타자의 배제를 통해서는 이제 불가능하고, 오히려 자기-비움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는 무언가가 되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philosophical thinking, survival has been criticized as the pursuit of the bare life (zoe) by private individuals. The advent of the Anthropocene and new perceptions of Gaia inevitably bring new perspectives to the issue of survival. In this presentation, I explore the semantics of new survival from two perspectives, namely the possibility of Anthropocene survivalism. My first thesis is that survival is not private, but public. This will be examined through Kant’s “public” and Mizoguchi Yuzo’s concept of “living people” (生民). Second thesis is that survival is not conatus, but kenosis. Survival can no longer be achiev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organism’s existence or the exclusion of others, but rather through self-emptying.

예술, 또는 태고의 침묵
Art or Le Silence of the Chaos (The Undifferentiated Wholistic Composition of All Things) 
김순기 Kim Soun-Gui
  • 예술가 Artist
이력보기 +
발표개요

‘예술 또는 태고의 침묵’이라는 명제를 통하여 동양 철학 사상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하겠다. 이를 위해 장자(莊子)와 석도(石濤)의 미학 이론을 검토한다. 아시아의 전통적인 동양철학 사상이 현재 서양 대륙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양 이론의 일부 운동에서 흡사한 점을 발견한다는 것이 아주 흥미롭기에 이 기회를 통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Through the proposition of art or primordial silence, I will question the meaning of art as it appears in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aesthetic theories of Zhuangzi (Chuang Tzŭ, 莊子) and Shitao (石濤). I will use this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raditional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 in Asia finds similarities to some of the contemporary movements in Western theory emerging on the western continent.

  • (3부) 예술로 다종의 세계 만들기
    (Session 3) Multispecies World-Making through Art
  • 모더레이터정현(인하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Moderator Jung Hyun (Professor/Art Critic, Dept. of Visual Arts, Inha University)
벌집의 지혜: 돌봄으로 집단 지성 키우기
Hive Wisdom: Can We Nurture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Care?
레오나르트 바르톨로메우스 Leonhard Bartolomeus
  • 야마구치 정보예술센터(YCAM) 큐레이터, 루앙루파 콜렉티브 Curator, YCAM / part of ruangrupa
이력보기 +
발표개요

1998년 인도네시아의 위기는 2000년에 설립된 루앙루파와 같은 콜렉티브의 부상을 이끌었으며, 이들은 협력적이고 시장 저항적인 정신으로 현대 미술을 변모시켰다. 이들이 감독한 도큐멘타 15는 공동적이고, 포용적이며, 자원을 공유하는 ‘룸붕(Lumbung)’ 접근 방식에 주목했다. 본 발표에서는 루앙루파의 전력과 돌봄의 원칙 및 집단적 예술성을 통한 협업의 잠재력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The 1998 crisis in Indonesia led to the rise of collectives like ruangrupa, founded in 2000, transforming contemporary art with a collaborative, market-resistant ethos. Their direction of Documenta 15 spotlighted the "Lumbung" approach—communal, inclusive, and resource-sharing. This presentation delves into ruangrupa's strategies and the potential of collaboration through care principles and collective artistry.

라운드테이블: 《봄의 선언》 전시
the 2025 Exhibition Manifesto of Spring
  • 김지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관
  • 임리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
  • 실케 슈미클 M+뮤지엄 무빙이미지, 샤넬 리드 큐레이터
  • 앨리스터 허드슨 ZKM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과학예술감독
  • 클라라 룽게 ZKM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큐레이터
  • Kim Jiha (Senior Curator, ACC)
  • Lim Liwon (Curator, ACC)
  • Silke Schmickl (CHANEL Lead Curator, Moving Image, M+ Museum)
  • Alistair Hudson (Scientific Artistic Director,  ZKM | Center for Art and Media Karlsruhe)
  • Clara Runge (Curator, ZKM | Center for Art and Media Karlsruhe)
공간정보

문화정보원, 문화정보원 B3 극장3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예술극장,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중 문화정보원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
B3(지하3층) 극장3 - 해당 층에는 7.극장3, 8.라이브러리파크, 9.북라운지, 10.극장 3로비, 11.기획관3, 12.대나무정원, 13.라운지, 14.블랙박스, 15.특별전시관, 16.아카데미 체험실1, 17.주제전문관, 18.ACC컬쳐숍, 화장실(2개 있음), 엘리베이터(3개 있음), 물품보관소(있음), 수유실/어린이휴게실(있음), 안내소(있음), 입구(2개 있음)

SNS공유

고객님께서 입력하신 예매자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매자 정보
성명 ACC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ACC WEBZINE

웹진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가 필요합니다.

수집내용

  1. 1. 수집이용목적: ‘웹진ACC’ 발송
  2. 2. 수집항목: 이메일 주소
  3. 3. 보유(이용)기간: 2년
  4. 4.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거부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을 경우 ‘웹진ACC’를 받아보실 수 없습니다.
    개인정보는 위 수집·이용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진을 포함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DM발송은 ACC홈페이지 회원가입을 통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CC 집콕꾸러미 온라인 이벤트

확인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주시고 참여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확인

  1. 이름: [미등록]
  2. 연락처: [미등록]
  3. 주소: [미등록]